[javaScript] 백엔드(Node.js)개발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공부
·
BackEnd
노드를 이용해서 서버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정작.. 자바스크립트를 많이도 까먹었다.해서 이번 기회에 확 정리하고자 한다. 변수? 1) 자바 스크립트는 동적 언어로, 변수 타입을 미리 선언하지 않는다(까먹었음!)2) 타입은 프로그램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파악하니 내가 굳이X3) 혹시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 싶다면 typeof()를 이용할 것. 그렇다면 이와 관련해서 간단한 코딩을 해보자. console.log(cat);var cat = "cute";console.log(cat);//변수 타입을 미리 선언할 필요가 없음. 타입은 프로그램이 처리 과정에서 자동으로 파악하기 때문이다! 출력방법은 비주얼코드에서 노드로 선택한 뒤, control + f5 를 누르면 간단하다.그치만.. 우리는 터미널을 앞으로 더 ..
[PostgreSQL] 첫 걸음
·
BackEnd
졸업 프로젝트를 맞아, 어쩌다보니 백엔드를 맡게 되었다(?) 내 최종적인 개발자의 목표는 풀스텍개발자였으므로, 오히려 좋다(?)라는 의미로 공부를 하게 되었다.우선 졸업프로젝트에 다룰 툴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이고 이를 위한 개념을 정리해보자. AndroidStudio -> Json -> Server(Node.js) -> PostgreSQL(DB) -> Server(Node.js) -> Json -> AndroidStudio로 운행되는 구조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었다. 그렇다면,  PostgreSQL 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risma는 직관적인 데이터 모델링과 API 생성을 통해 개발 시간을 단축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아직 제대로 배우지는 못했지만, 찾아보니 생각보다 구조가 쉽고 이해가 빨랐다..